본문 바로가기
재테크/부동산

DTI와 DSR이란?? 또, DSR 40% 란 무엇인가?

by 아미$ 2023. 3. 21.
반응형



보통 대출이 필요하게 되면 많이 사용되는 전문용어가 많습니다.
DTI, DSR, LTV 등이 있습니다. 근데 주택을 담보로 하는 대출은 DTI와 DSR을 많이 보기 때문에 이 용어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DTI와 DS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신용대출 원리금을 포함한 총 대출 상환액이 연간 소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기 위해 금융위원회가 2016년 마련한 대출심사 지표이다. 주택담보대출 이외에 금융권에서의 대출 정보를 합산하여 계산한다.총부채상환비율(DTI)은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에 신용대출 등 다른 대출의 이자를 더한 금융부채로 대출한도를 계산하는 반면 DSR은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모두 더한 원리금 상환액으로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기 때문에 더 엄격하다. DSR을 도입하면 연소득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금융부채가 커지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대폭 축소된다. 이 DSR은 DTI 규제가 없는 수도권 이외 지역에도 적용된다. 

DTI와 DSR 산출
• DTI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이자 상환액) / 연간 소득
• DSR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네이버 지식백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DSR 40% 란?

 
주택매매 할 때 DSR 40%란 조건이 은근히 많이 붙는다.
나같은 경우는 지금 전세자금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을 함께 할 수 있는지를 공부하다가 배웠지만 
DSR 40%를 넘지 않으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을 함께 받을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렇다면 DSR 40%란 무엇일까?
 
나의 연봉이 5000만원이라고 가정했을때,
1년 대출이자원리금의 합/ 연봉이  40%라는 것이다.
 

예)
주택담보대출 2억 (40년 만기 연 5% 금리) = 1년 원리금 1152만원과
학자금대출 2천만원의 금리 1% = 20만원

1172만원/5000만원 =23% 임으로 40%까지는 돈을 대출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올해 정부가 발표한 특례보금자리론은 어떨까? 기존의 DSR 40% 조건이 없다. 이러한 조건없이 확실하게 주택매수에 힘을 싣어주는 상황이다. 사실 한국 부동산은 시세가 하락할수록 건설사와 금융권이 모두 힘들어지는 구조이므로 너무 많이 하락했을때는 정부에서 집값을 올리기 위한 부양책을 발표하는데 이도 그중에 하나이다.

이렇게 DSR과 DTI, 그리고 DSR 40%의 의미를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