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월 Fomc 일정
한국시간 3/23일 파월의 선택은?
그리고 한은의 금리조정은?
파월이 금리인상여부가 우리나라 부동산에 미칠 영향은? 나는 실제로 당분간은 우리나라 부동산이 현상유지 또는 약간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렇다고 주택매매를 하지 말라는 뜻은 아니다. 좋은물건이 싸게 나왔다면 금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사야하는게 맞다. 하지만 감당할 수 없는 대출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금리 인상은 올해 우리나라는 많게는 0.5%까지도 가능하다고 본다. 물론 건설사와 금융권때문에 경제가 무너지지 않도록 조율하면서 올리거나 유지를 할 것이다. 지난번 한국은행이 미국의 연속된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를 우려해서 금리를 동결했던 이유도 붕괴되는 것을 보긴 힘들었을터이다.
또한, 실제로 미국이 빅스텝까지 고려하던 와중에 svb파산과 연이은 유럽의 cs사건이 금리인상의 장애물을 만들었다. 본질은 물가하락을 위한 금리 인상인데 과연 연준은 어떤 결정을 할 것인가? 연준의 포지션이 궁금해진다. 하지만 연준의 결정과는 무관하게 우리나라는 다음번에 베이비스텝을 할 가능성이 크다.
모두 성투하시길 빕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전세자금대출을 알아보자. (0) | 2023.03.22 |
---|---|
DTI와 DSR이란?? 또, DSR 40% 란 무엇인가?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