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테크/부동산3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전세자금대출을 알아보자.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전세자금대출 종류 및 설명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비정상거처 이주지원 버팀목전세자금전세피해 임차인 버팀목전세자금신혼부부전용 전세자금버팀목전세자금 -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부부합산 연소득이 5천, 외벌이는 3500만원 이하만 19세 - 만 34세 이하청년대출금리 1.2%대출한도 1억원대출기간 최초 2년 -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순자산가악 3.61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만 19세 -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대출금리 연 1.5% - 2.1%대출한도 최대 2억원 이내 (임차보증금의 80% 이내)대출기간 최초 2년 - 비정상거처 이주지원 버팀목전세자금비정상거처에 신청일 현재 3개월 이상 거주중인 무주택 세대주대출금리 무.. 2023. 3. 22.
연준의 선택까지 D - 1 과연 파월은? + 한국은행의 선택과 부동산의 미래는? 3월 Fomc 일정 한국시간 3/23일 파월의 선택은? 그리고 한은의 금리조정은? 파월이 금리인상여부가 우리나라 부동산에 미칠 영향은? 나는 실제로 당분간은 우리나라 부동산이 현상유지 또는 약간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렇다고 주택매매를 하지 말라는 뜻은 아니다. 좋은물건이 싸게 나왔다면 금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사야하는게 맞다. 하지만 감당할 수 없는 대출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금리 인상은 올해 우리나라는 많게는 0.5%까지도 가능하다고 본다. 물론 건설사와 금융권때문에 경제가 무너지지 않도록 조율하면서 올리거나 유지를 할 것이다. 지난번 한국은행이 미국의 연속된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를 우려해서 금리를 동결했던 이유도 붕괴되는 것을 보긴 힘들었을터이다. 또.. 2023. 3. 22.
DTI와 DSR이란?? 또, DSR 40% 란 무엇인가? 보통 대출이 필요하게 되면 많이 사용되는 전문용어가 많습니다. DTI, DSR, LTV 등이 있습니다. 근데 주택을 담보로 하는 대출은 DTI와 DSR을 많이 보기 때문에 이 용어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DTI와 DS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모든 신용대출 원리금을 포함한 총 대출 상환액이 연간 소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기 위해 금융위원회가 2016년 마련한 대출심사 지표이다. 주택담보대출 이외에 금융권에서의 대출 정보를 합산하여 계산한다.총부채상환비율(DTI)은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에 신용대출 등 다른 대출의 이자를 더한 금융부채로 대출한도를 계산하는 반면 DSR은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의 .. 2023. 3. 21.
반응형